2025 중위소득 계산 및 건강보험료 기준 확인 방법 | 복지 수급 소득판정 기준표 총정리

2025 중위소득 계산 및 건강보험료 기준 확인 방법 | 복지 수급 소득판정 기준표 총정리

중위소득은 정부 복지 정책의 기준이 되는 지표로, 2025년 기준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통해 수급 대상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본문에서는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및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을 정리해드립니다.

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하며, 기초생활수급자, 청년월세지원, 에너지바우처 등의 복지 신청 시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몇 % 이하인지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


  • 기준 연도: 2025년
  • 산정 기준: 보건복지부 고시 중위소득 × 가구원 수
  • 적용 대상: 복지 수급자격, 건강보험료 납부기준 등
  • 검토 항목: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표 활용

아래는 2025년 기준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및 건강보험료 기준표입니다.

가구원 수 중위소득(원) 중위소득 100% 건강보험료 기준 (직장가입자)
1인 2,227,000 100% 약 79,000원
2인 3,676,000 100% 약 132,000원
3인 4,747,000 100% 약 170,000원
4인 5,805,000 100% 약 207,000원
5인 6,821,000 100% 약 242,000원

예를 들어, 4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이 5,805,000원 이하이면서 직장가입자 기준 보험료 207,000원 이하라면 중위소득 100% 이하로 간주되어 다양한 복지 혜택 신청이 가능합니다.

주의사항: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는 재산, 자동차, 사업소득 등을 포함해 별도 계산되므로 복지로 모의계산을 통해 정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