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세 재계약 분쟁 발생 시 대응 방법|갱신청구권 침해 사례 모음
전세 재계약 시 분쟁은 생각보다 자주 발생하며, 특히 갱신청구권을 임대인이 거부하거나 회피할 때 문제가 커집니다. 실제 사례를 통해 침해 유형과 대응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.
갱신청구권 행사를 임차인이 요구했음에도, 임대인이 정당하지 않은 사유로 거절하는 경우 이는 권리 침해에 해당될 수 있으며,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.
다음은 침해 유형별 실제 분쟁 사례입니다.
침해 사례 | 상세 설명 | 임차인 대응 |
---|---|---|
허위 실입주 통보 | 임대인이 입주 예정이라며 갱신 거절 후, 제3자에 재임대 | 손해배상 청구 가능 |
임차인 통보 무시 | 내용증명 보냈음에도 계약 종료 주장 | 계약 자동 연장 주장, 법적 효력 발생 |
과도한 임대료 인상 | 5% 초과 인상 조건으로만 갱신 허용 | 부당행위 신고 및 조정 신청 |
답변 회피 및 계약 지연 | 답변 없이 시간 끌다가 계약 종료 유도 | 내용증명 및 분쟁조정 신청 |
위 사례처럼 임대인이 규정을 위반하거나, 묵살하거나, 고의로 조건을 왜곡하는 경우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무료로 조정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
- 내용증명을 통한 증빙 확보
- 공정거래위원회 또는 지자체 상담센터 문의
- 임대차분쟁조정 신청을 통한 중재
갱신청구권을 행사한 기록은 반드시 남기고, 통신 이력·서면자료는 법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보관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