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트레스DSR 3단계 계산 방법 정리|주택담보대출 소득기준 영향 받는 항목 총정리

스트레스DSR 3단계 계산 방법 정리|주택담보대출 소득기준 영향 받는 항목 총정리

2025년부터 시행된 스트레스DSR 3단계는 주택담보대출 심사 시 차주의 미래 상환 능력을 보다 엄격하게 판단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. 이 제도는 특히 소득 산정 방식과 이자율 반영 기준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, 실수요자의 대출 가능 금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 본문에서는 스트레스DSR의 계산 방식과 적용되는 소득 기준, 주요 심사 요소를 정리해드립니다.

스트레스DSR 3단계에서는 대출 심사 시 실제 금리가 아닌, 금융당국이 정한 ‘스트레스 금리’를 적용합니다. 이는 향후 금리 인상 위험을 반영하기 위한 조치이며, 그에 따라 대출한도는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. 가장 핵심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적용 금리: 실제 대출금리 + 3%p 수준(최소 8% 이상 반영)
  • 소득 산정 방식: 최근 1년간 소득이 기준, 필요시 평균값 활용
  • 상환 비율: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로 제한

실제 계산 예시:

구분 기존 DSR 스트레스DSR
적용 금리 실제 대출금리(예: 4%) 스트레스 금리(예: 8%)
연 소득 5,000만 원
상환 한도 약 1,750만 원 약 1,250만 원

결과적으로 같은 소득과 대출 조건이라도, 스트레스DSR이 적용되면 대출 가능 금액은 줄어듭니다. 특히 다주택자나 고소득 프리랜서 등 소득 변동성이 큰 차주는 보다 엄격한 심사를 받게 됩니다.

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:

  1. 연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(예: 사업자, 프리랜서)
  2. 기존 대출이 많은 차주
  3. 만기 조정으로 상환부담을 낮추는 전략 사용 시

신청 전 반드시 적용 금리와 본인의 연 소득 자료를 확인하고, 은행별 기준을 비교한 후 상담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